상권진흥구역·우수시장·혁신시장·공유마켓 등 4개 사업 추진
민선7기 경기도가 서민경제 안정화, 자영업자 활력 강화, 구도심 상권 활성화 등을 목적으로 ‘경기도형 전통시장 활성화 대책’을 마련, 대대적인 드라이브를 걸었다.
경기도는 ‘경기도형 전통시장 활성화 대책’의 일환으로 총 450억원 가량을 투자해 ‘상권진흥구역’, ‘우수시장’, ‘혁신시장’, ‘공유마켓’ 등 4개 사업을 추진, 올해 16개소를 포함해 민선 7기 4년간 총 64개소를 선정해 지원한다.
우선 ‘상권진흥구역’은 전통시장과 상점가를 포함한 구도심 침체 상권에 활기를 불어넣고자 경기도가 전국 광역단위 최초로 도입한 지역·포괄적 사업이다.
또한 상권진흥 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일임할 ‘상권진흥센터’를 설치하고, 상권 자치 중심의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는 차원에서 상권 내 상인,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민간 주도형 ‘상권진흥협의회’를 운영할 계획이다.
‘우수시장’은 경기도를 대표할 문화·콘텐츠를 갖춘 우수시장 모델을 발굴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사업으로, 올해 2곳을 포함해 2022년까지 8곳을 선정한다.
‘혁신시장’은 전통시장의 불편하고 낙후됐다는 부정적 이미지를 개선해 지역민과 함께하는 소통의 장을 만드는 데 목적을 둔 사업으로, 올해 2곳을 포함 2022년까지 10개 시장을 선정해 지원한다.
‘경기공유마켓’은 도내 전통시장·골목상권·5일장 등과 연계된 장소에 지역의 다양한 주체들이 누구나 판매자(Seller)로 참여할 수 있는 ‘공유 상업공간’을 만드는 것으로, 올해 10곳을 포함해 민선 7기 동안 40곳을 지원한다. 시장 1곳 당 2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공유마켓 운영에 필요한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공유마켓 사업단’을 구성해 전통시장 인근 유휴공간에 지역주민, 협동조합, 농업인, 푸드트럭 등 새로운 아이템을 통한 품목 다변화로 신규 고객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이 밖에도 도는 광역지자체 최초로 ‘시장매니저’를 통해 도내 전통시장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자생력 강화를 도모한다. 시행 규모는 총 50명이다.
무엇보다 이 사업은 민선7기 경기도가 추진하는 ‘공공·공익적 일자리 창출사업’의 대표적 사례다.
최근 채용비리가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만큼 공정하고 엄정한 절차를 거쳐 적합한 인재를 뽑을 방침이며, 이를 통해 전통시장 조직력 강화와 내실있는 상인회 운영을 도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 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경일보] 하남시와 하남경찰서 ‘생활적폐’ 해결 맞손 (0) | 2019.03.18 |
---|---|
광주시‚ 남한산성문화제 시민 아이디어 공모 (0) | 2019.03.18 |
[산경일보] 용인시‚ 5대 암 무료 검진 적극 이용 홍보 (0) | 2019.03.18 |
[산경일보] 경기도‚ 과적 차량 단속 강화 (0) | 2019.03.18 |
[산경일보] 일산 백석역 열배관 파열사고 수사결과 (0) | 2019.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