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비 일체 지하화···상부는 수영장 포함 실내 체육시설과 공원 등으로 조성

수원시자원회수시설 이전 사업이 ‘주민 친화’에 방점을 두고 추진된다.
수원시는 폐기물 처리설비 일체를 지하화하고, 상부는 주민 선호도를 반영해 수영장을 포함한 실내 체육시설 등 편익 시설로 조성할 계획이다.
수원시는 최근 이 같은 구상을 추가해 현재 진행 중인 ‘자원회수시설 이전 입지 선정 등 사전 조사 용역’ 설계를 변경했다.
용역에 더해진 과업은 ▲ 폐기물 처리설비 지하화와 상부 공간 조성 등 시설 복합화 계획 ▲ 다목적 체육관 등 편익 시설 조성안 수립 ▲ 분야별 전문가 자문 확대 등이다.
과업 추가에 따라 수원시는 당초 올해 3월 예정이던 용역 완료 시기를 12월로 9개월 연장했다.
수원시는 자원회수시설 이전에 따른 혼란과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입지 후보지 선정을 신중히 하고 있다. 아울러 체감형 혜택을 늘려 시민 공감대를 확산하고, 시설 명칭도 시민 공모를 거쳐 친환경·편익·안전 등 특성을 포괄하도록 변경할 예정이다.
수원시는 인식 개선 계획의 하나로 ‘주민 친화형 자원회수시설’ 구상을 반영한 조감도를 공개했다.
부지 위치를 배제한 아이디어 차원의 조감도에는 전면 지하화한 설비 위로 체육관, 분수대와 물놀이장, 야외 체육시설, 공원과 둘레길 등이 담겼다. 편익시설 유형과 규모는 추후 공모·설문 등 시민 의견을 반영해 결정된다.
수원시자원회수시설 이전 사업은 영통구 영통1동 기존 시설을 대체할 신규 시설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총사업비는 부지 위치에 따라 4000억원 내외로 추산된다.
수원시는 2023년 세 차례에 걸친 입지 후보지 공모가 무위에 그치는 등 대체 부지 선정에 난항을 겪자 지난해 3월 사전 조사 용역을 발주하며 자체적으로 부지 발굴에 나섰다.
수원시는 용역이 끝나는 대로 후보지 주민 대표가 참여하는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하고 타당성 조사, 주민공청회, 전략환경영향평가 등을 거쳐 2032년 새로운 자원회수시설을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수원시 관계자는 “이번 용역 설계 변경은 ‘시민에게 혜택이 되는 자원회수시설’을 향해 첫발을 뗐다는 의미가 있다”며 “‘환경 영향 최소화’와 ‘시민 편익 극대화’라는 2대 원칙으로 최적의 부지를 찾아 가장 안전한 시설을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수원시는 자원회수시설 이전과 별도로 노후화된 기존 시설 개선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내년 1월 시행되는 ‘쓰레기 직매립 금지’ 조치에 발맞춰 쓰레기 대란을 막기 위한 것으로, 올해 상반기 사업 시행자를 최종 선정하고 2028년 상반기 완공할 계획이다.
'지방자치단체 > 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상진 성남시장, 밸런타인데이 기념 미국 블룸버그 재단 영상에 등장 (0) | 2025.02.18 |
---|---|
여주시, 여주지역건축사회와 소통 간담회 개최 (0) | 2025.02.17 |
하남시, 대한민국 지역경제대상 2관왕···기업·골목상권 동반 성장 (1) | 2025.02.17 |
용인특례시 '5개 도로건설사업'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선정 (0) | 2025.02.17 |
성남시, 해빙기 대비 건축공사장 안전점검 실시 (0) | 2025.02.17 |